IT Eng 이야기

CCTV, Camera ... 용어해설

YSP 2017. 6. 8. 17:23




CCTV, Camera ... 용어해설

 

 

* 가변초점렌즈(VARIFOCAL LENS)

초점거리를 가변 할 수 있는 렌즈.
주렌즈 앞의 부가렌즈를 움직여 연속적으로 초점거리를 가변하지만 줌렌즈와는 달리 결상면도 변한다.


* 가시광(VISIBLE LIGHT)

인간의 눈으로 볼 수 있는 빛.
파장이 약 380nm∼780nm범위의 전자파이다.


* 감도(SENSITIVITY)

각종 기기나 센서가 입력에 대해 응답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말.
① 원하는 출력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최소 입력 레벨.
TV, VIDEO CAMERA에서는 원하는 S/N비를 얻기 위해 필요한 수신 입력 레벨 또는 피사체조도로 정의.
② 단위 입력당 출력의 크기.
광센서 등에서는 입사광속당 출력전류로 정의되는 광전감도가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 감마(GAMMA)

촬상소자, 표시소자등의 광→전기 변환소자, 또는 화상→화상변환장치의 입출력 관계에 대하여 출력을 종축, 입력을 횡축으로 하였을 때 입출력 변환특성을 나타내는 기울기를말한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변환특성(촬상소자의 경우는 광전변환특성, 표시소자의 경우는 전광변환특성)이라고 말한다. 감마가 1이면 입출력은 비례하며, 감마가 1보다 크면 콘트라스트가 강하게 되며, 감마가 1보다 작으면 반대로 콘트라스트가 약한 화면이 출력된다.


* 감마보정(GAMMA COMPENSATION)

대부분의 촬상소자(촬상관, CCD, MOS등)는 입사광에 대한 광전변환특성이 선형(γ=1.0)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대표적인 화상표시 수단인 브라운관(CRT)의 전광변환특성은 비선형 (γ=2.2)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변환특성 불일치에 따른 영상왜곡이 발생된다.
따라서 브라운관 비선형(γ=2.2)특성을 상쇄하기 위한 역방향 비선형(γ=0.45)보정을 카메라측에서 수행하여 결과적으로 입사광에 비례한 브라운관의 발광감도를 얻기 위한 보정이다.


* 고스트(GHOST)

TV전파를 수신할 때, 정규신호로부터 어긋나서 중복되어 생기는 방해 화면 주로 건물이나 지형에 의한 반사파가 시차에 따라 발생하여
중복 수신되기 때문에 발생한다.
수신안테나와 수상기간의 FIELD정합이 불안정하여 반사가 생기는
경우 등도 원인이다.


* 고정초점렌즈(FIXED FOCAL LENGTH LENS)

초점거리를 변화시킬 수 없는 렌즈.
표준렌즈외에 망원렌즈나 광각렌즈등 여러 종류가 있다.
일반적으로 초점거리가 가변되는 줌렌즈에 비해 결상의 정밀도가
뛰어나다.


* 고체촬상소자(SOLID STATE IMAGE SENSOR)

반도체 주사회로에 의해 영상신호가 읽혀지는 촬상소자이다.
수광부는 입사광에 의해 신호전하를 생성, 축적하는 다수의 화소로
구성된다.
각 화소에 축적된 신호전하는 스위칭 트랜티스터를 거쳐 소정의
순서로 읽어낸다.
촬상관등 진공형 촬상소자에 비해 소형경량이며 내구성과 조작성이
뛰어나다.
화소가 1차원으로 배열된 LINEAR 센서가 있고, 2차원의 AREA 센서가 있으며, 방송용 카메라나 가정용 비디오카메라를 시작으로 사무
기기나 의료, 업무용등 다방면에서 이용되고 있다.
저잡음의 CCD를 주사회로로 이용하는 것이 주류이다.


* 광학필터(OPTICAL LOW PASS FILTER)

화상에 포함되어진 불필요한 공간주파수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광학적인 LOW PASS FILTER 수정의 복굴절에 의한 다중상을
이용하는 것이 많다.
고체촬상소자를 이용한 카메라에서는 화상의 이산적 샘플링에 의한
반사잡음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 구경비(APERTURE RATIO)

광학계의 입사렌즈의 직경(D)과 초점거리(f)와의 비(D:f).즉,
초점거리 50mm이고 입사렌즈 직경이 25mm인 경우, 1:2로 표시한다.
이것은 광학계의 밝기를 표시하며, 렌즈의 F값은 구경비의 역수로, F=f/D로 표시된다.


* 다이나믹 레인지(DYNAMIC RANGE)

신호를 왜곡없이 전송, 변환 또는 처리할 수 있는 최대 레벨과, 잡음과 기기의 성질에 의해 제한되는 최소 레벨과의 비. 화상 시스템에서 최대 레벨은 회로와 변환소자의 포화, 블루밍등으로 제한되며,
최소 레벨은 잡음, SHADING, 양자화 레벨 수등으로 제한된다.
단위는 주로 dB로 표시한다.


* 다이크로익 프리즘(DICHROIC PRISM)

다층 간섭막을 표면에 형성하여 입사광의 일부 파장 성분만을 반사하고 나머지 성분은 투과하여 R,G,B삼원색광으로 분해하도록 한
프리즘이다.
투과하는 광의 손실이 거의 없기때문에 다판식 VIDEO CAMERA와 액정 프로젝터의 색 분해계에 이용된다.


* 단판식 칼라카메라(SINGLE CHIP COLOR CAMERA)

1개의 고체촬상소자로 칼라 촬상을 행하는 칼라카메라.
촬상소자 각각의 상부에 여러 종류의 칼라 필터를 모자이크 형상 또는 스트라이프 형상을 배치하여 1개의 촬상소자로부터
색정보를 얻는다.
칼라 필터에 R.G.B 3원색을 이용하는 원색단판방식과 보색계를
중심으로 이용하는 보색 단판방식이 있지만, 해상도와 감도에서
뛰어난 보색단판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 데시벨(DECIBEL, dB)

기준이 되는 전력차를 P1, 비교대상의 전력차를 P2로 했을 때, 다음식으로 정의되는 상대비교를 표시하는 값 N의 단위이다.
NP = 10 * LOG10(P2/P1)
전력비의 상용대수가 BELL이고, 그 10배를 DECIBEL(dB)로 표시한다.
또한 전압비(E2/E1)와 전류비(I2/I1)는 아래식으로 표현된다.
NE = 20 * LOG10(E2/E1), NI = 20 * LOG10(I2/I1)


* 동기결합(GENERATOR LOCK, GEN-LOCK)

서로 다른 두 개 이상의 동기신호를 사용하는 시스템간에 동기신호를 완전히 동조화 시키는 것. 일반적으로 동기신호의 주파수 및
위상을 맞춘다.


* 동기신호(SYNC SIGNAL)

화상전송 계통에서 수신측의 재현동작을 송신측과 맞추기 위하여
이용하는 신호.
TV에서는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의 동기를 맞출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하여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를 합성한 복합동기신호가 영상신호의 귀선소거 기간 중에 삽입된다.
통상은 진폭분리 가능한 (-)극성으로 보내지지만, 위성전송에서는
(+)극성으로도 사용된다.


* 동축케이블(COAXIAL CABLE)

통과 주파수 대역에서 손실이 낮은 케이블의 일종. 이 케이블은 금속 차폐와 중심부에 한 개 이상의 도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차폐와
도체는 서로 분리되어 있다.


* 동해상도(DYNAMIC RESOLUTION)

움직이고 있는 피사체에 대한 해상도. 통상의 촬상소자에서는 축적원리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입사광에 의한 신호를 일정시간 적분하여 읽어낸다. 이 읽어 내는 주기중에 피사체가 정지 화상의 분해능력을 초과하여 이동하면 동해상도는 정지 화상의 해상도보다 나빠진다.
따라서 축적시간이 짧을수록 동해상도는 향상되지만 그만큼
감도는 나빠진다.


* 룩스(LUX)

빛의 감도를 측정하는 단위.


* 모아레(MOIRE)

VIDEO CAMERA에 있어 각종 규격의 TV방식 및 사용되는 촬상소자의
화소수에 따른 양자화 주파수와 간섭하는 주파수 성분을 포함한
피사체를 촬상하였을 때 발생되는 영상왜곡 현상으로 특정한 피사체(규칙적인 상하 줄무늬, 빛살 무늬, 체크 무늬)를 특정한 크기로
촬상하면 아지랑이 모양의 불규칙한 색상이 겹쳐 보이는 현상.
촬상소자의 화소수에 대응, 적절한 광학 LPF를 채용하여 이 영상 왜곡을 경감시킬 수 있다.


* 백초점거리(BACK FOCAL DISTANCE)

렌즈의 최종 굴절면의 정점에서부터 상초점면까지의 거리.


* 복합비디오 신호(COMPOSITE VIDEO SIGNAL)

휘도신호와 2개의 색차신호가 주파수 INTERLEAVE에 의해 다중화된
칼라 신호.
VBS(VIDEO/BURST/SYNC)신호라고도 한다.


* 블루밍(BLOOMING)

영상 화면상에서 피사체의 고 휘도 부분 주변이 번지는 것처럼
밝게 되는 현상.
고체촬상소자에서는 축적기간중에 축적된 신호전하가 주변의 화소로 흘러나오기 때문에 블루밍이 발생한다.
이것 때문에 OVER FLOW DRAIN 구조로써 과도하게 축적된 전하를
기판으로 배출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 비디오형 자동조리개 렌즈(VIDEO TYPE AUTO IRIS LENS)

자동조리개 렌즈의 일종으로써 직류전원과 영상신호를 공급받아 렌즈 자체에서 일정한 광량을 유지하는 기능의 회로를 갖고, 영상신호의 레벨을 판단하여 렌즈의 조리개를 자동으로 조정 할 수 있도록 한 렌즈.


* 비월주사(INTERLACE SCANNING)

TV 주사시 사람의 눈에 화면이 가물거리는 현상을 없애기 위해 한줄 건너서 한줄씩 주사하며 2회 수평주사로써 한 장의 그림을 완성하는 주사방식.
이 비월주사가 현재 전세계 각국의 표준방식으로 널리 채용되고 있다.


* 색수차(CHROMATIC ABERRATION)

빛의 파장에 따라 렌즈등 광학부품의 굴절율이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결상 위치나 확대배율등의 수차.
색에 의한 광축상에서 결상위치의 틀어짐을 축상색수차, 배율의
틀어짐을 배율색수차라 한다.
전자 광학계에서도 전자빔의 에네르기 분산에 의해
발생하는 수차를 색수차라 부르기도 한다.


* 색신호(COLOR SIGNAL)

칼라 TV에서 색에 관한 정보를 갖는 신호의 총칭. R/G/B의 원색신호.
R-Y/B-Y의 색차신호, 반송색신호등이 경우에 따라 용도별로
나누어진다.


* 색온도(COLOR TEMPERATURE)

캘빈 온도로도 불리며, 기호 K로 표시한다.
이상적인 흑체를 가열하면 암적색에서 주황색, 황색, 백열상이
되고 온도가 상승할수록 푸른빛을 낸다.
즉, 빛의 색조성을 절대 온도의 단위로 표시할 수 있다고 하는 영국의
켈빈의 연구에 의한 것으로, K는 그 머리글자를 나타낸다.
한 낮의 태양광은 5,500∼6,000K이며 색 온도가 낮아지면 적색이 강해지고 반대로 높아지면 청색이 강해진다.


* 수동조리개렌즈(MANUAL-IRIS LENS)

IRIS를 고정위치로 설정하여 사용하는 렌즈. 일반적으로 고정된
밝기에서 사용하며 일정한 출력레벨을 얻기 위해서는 전자 SHUTTER IRIS와 같은 별도의 보정 회로가 필요하다.


* 수직주사(VERTICAL SCANNING)

상하방향의 주사. 화면을 구성하는 화소의 신호값을 상하방향 즉,
수평주사선에 수직인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읽어 내는 것, 또는 같은 방법으로 순차기록 또는 표시하는 것.


* 수직해상도(VERTICAL RESOLUTION)

수직방향의 공간해상도. 촬상소자의 경우 화소수, 촬상관의 경우 빔의 크기 그리고 방송방식과 관련이 깊다.
단위는 본 또는 LINE를 사용한다.


* 수평주사(HORIZONTAL SCANNING)

수평방향의 주사. 화면을 구성하는 화소의 신호값을 수평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읽어 내는 것.
또는 같은 방법으로 순차기록 또는 표시하는 것.


* 수평해상도(HORIZONTAL RESOLUTION)

수평방향의 공간해상도. TV에서는 화면상에서 판별 가능한 흑백
세로줄의 수로 나타낸다.
단위는 본 또는 LINE를 사용한다.


* 순차주사(PROGRESSIVE SCANNING)

화상의 주사방법의 일종으로 1프레임 기간 내에 모든 주사선을
순서에 따라 주사하는방법.
주사방법으로는 가장 단순한 방법이지만 화상신호의 대역압축이라는 관점에서 현재 TV에서는 비월주사가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비월주사 고유의 문제점 때문에 근래에는 순차주사의 재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수신한 비월주사 신호를 순차주사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수상기도 실용화되고 있다.


* 신호대잡음비, S/N비(SIGNAL TO NOISE RATIO, S/N RATO)
신호와 잡음과의 비율.
대부분 신호와 잡음의 전력비로 표시하지만 전압비로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 역광보정(BACK LIGHT COMPENSATION)

전체 화면중 관찰하려는 피사체 주위에 강한 빛이 있을 때
자동조리개 렌즈등을 사용할 때에는, 화면의 전체 레벨로 조리개를
제어하여 관찰하려는 피사체가 어둡게 촬상되므로 관찰하려는
피사체를 밝게 보기위한 회로적인 보정 방법.
주로 화면을 분할하여 관찰하려는 영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선택된 영역만으로 조리개 제어를 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 윤곽보정(APERTURE COMPENSATION)

모니터 영상의 윤곽을 강조하여 선명한 영상을 얻도록 하는 것이다.
윤곽 보정은 수평 방향이 주류이지만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따라
수평, 수직 양방향 모두의 윤곽을 강조한 비디오카메라가 많다.
지나치게 강조하면 검은 윤곽 뒤에 강렬한 흰 선이 나타나,
화질이 나빠진다.


* 자동이득제어(AUTOMATIC GAIN CONTROL, AGC)

송수신에 관련해서 출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자동으로
이득을 제어하는 기능.
출력레벨을 중간증폭기에 피드백하여 수신신호의 레벨변화와 온도 등에 의한 출력레벨의 변동이 없도록 제어하는 방법이다.


* 자동조리개제어(AUTOMATIC IRIS CONTROL)

촬영조도의 변화에 따라 적절한 노광을 얻기 위해 조리개 조정을
자동으로 하는 기능.
휘도신호의 평균치와 피크치를 이용한 평가치를 초기 설정치와 비교하여 차전압을 조리개 제어전압으로 하여 조도변화에 대해 신호를
일정한 레벨로 유지하도록 피드백 제어한다.
역광등 다양한 피사체의 조명조건에 높은 정밀도를 요구하는
경우에는 마이콤등을 이용하는것도 있다.


* CCCD(Charged Coupled Device:고체촬상소자)


*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상보성금속산화물반도체)


* 자동초점조정(AUTOMATIC FOCUS)

렌즈의 초점 조정을 자동으로 행하는 방법.
대표적인 방법으로 초음파를 발사하여 반사되는 파의 지연시간으로
거리를 측정하는 방식(초음파 AF방식), 적외선을 삼각측량의
원리에 의해 거리를 측정하는(적외선 AF방식)방식, 홀센서를 이용한(위상차 AF방식)방식, 카메라의 영상신호를 이용하여 특정주파수
성분이 최대인 점을 찾아내는(콘트라스트 AF방식)방식등이 있다.


* 전자셔터(ELECTRONIC SHUTTER)

촬상소자에서 전자적인 스위칭에 의해 신호축적시간을 변화시키는
셔터 동작.
고체촬상소자에서는 전체 축적기간중 일정 기간분은 버리고, 나머지 기간동안 축적된 전하만을 사용하는 방법이 움직임이 빠른 피사체의 촬영이나 형광등 플리커의 방지등에 이용되고 있다.


* 전하결합소자(CHARGE COUPLED DEVICE, CCD)

반도체 기판상의 산화막 위에 근접하여 배열한 다수의 전극에 순차 CLOCK 신호를 가해 전위물을 이동시켜 신호전하를 일정방향으로
전송하는 반도체 소자.
입사광에 의해 축적된 신호전하를 읽어내기 위해 CCD를 이용한
카메라가 방송용과 민생용을 시작으로 여러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 조도(ILLUMINANCE)

입사하는 광속을 단위 면적당으로 환산한 값. 단위는
룩스(LUX,LX)를 사용한다.
(밝기의 기준)
·직사일광 : 100,000 LUX
·쾌청 : 10,000 LUX
·구름있는 한 낮 : 1,000 LUX
·일반사무실 : 1,000 LUX
·시청각실 : 200 LUX
·황혼, 호텔로비 : 100 LUX
·호텔의 복도 : 50 LUX
·주차장, 극장 휴식중의 객석 : 10 LUX
·극장의 객석 : 2 LUX
·만월 시 맑은 밤의 지상 : 0.3 LUX
·상현달의 밝기 : 0.001 LUX
·별의 밝기 : 0.001 LUX


* 종횡비(ASPECT RATIO)

표준 TV시스템에서 화면 넓이와 높이와의 비율.
NTSC와 PAL방식은 수평대 수직 비율이 4:3이며, WIDE방식의
경우 16:9이다.


* 주사(SCANNING)

2차원의 화상을 시간적인 전기 신호로 전송하기 위해 화상을 화소로 분해하고 각 화소의 신호 값을 일정한 순서와 방법으로
읽어내는 동작.
또는 이와 같은 신호로부터 원래 화상을 복원하는 동작.


* 주사선수(NUMBER OF SCANNING LINES)

수직귀선 기간을 포함한 1프레임의 화면을 나타내는 주사선의 수.
NTSC방식은 525본, PAL과 SECOM방식은 625본, 하이비젼 방식은
1125본등(단, 예외도 있다).
또 수직귀선기간을 제외하면 유효주사선수라고 한다.


* 주사방식(SCANNING STANDARD)
화상을 구성하기 위해 정해진 주사에 관한 방식. 주요 방식으로는 선주사, SECTOR주사, 점주사가 있다.


* 줌렌즈(ZOOM LENS)

광학계의 일부를 광축에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피사체의 위치를 변화시키지 않고 초점 거리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렌즈.
비디오카메라용 줌렌즈의 일반적인 구성은 배율을 바꾸는 변배렌즈계와 결상 기능을 하는 결상렌즈계로 구성된다.
상에 초점을 맞추는 기능은 변배 렌즈계 또는 결상 렌즈계의 일부렌즈를 이동시켜 행한다. 일반적으로 줌렌즈의 구경비는 줌비에 따라
변하지 않지만 줌렌즈의 소형화를 위하여 최대초점거리에서
구경비가 크게 되는 것도 있다.


* 줌비(ZOOM RATIO)

줌렌즈 또는 가변초점렌즈에서 최대 초점거리와 최소
초점거리와의 비율.
촬영하는 화각을 변화시킬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


* 집광렌즈(CONDENSER LENS)

결상을 목적으로 하지 않고, 단지 빛을 모으는 역할을 하는 렌즈.
영사기나 슬라이드, 프로젝터와 같은 광원을 갖는 기자재의 집광등에 이용된다.


* 초점거리(FOCAL LENGTH)

광학계의 초점과 주점과의 거리.
촬상장치에서는 초점거리가 길어 질수록 화각이 좁아지고 피사계
심도가 얕아진다.


* 최소피사체거리(MINIMUM OBJECT DISTANCE, MOD)

피사체에 초점을 맞출 수 있는 렌즈의 최소 근접 거리.
렌즈앞(VERTEX)부터 피사체까지의 거리로 측정된다.
일반적으로 광각렌즈는 망원렌즈 보다 MOD가 작다.


* 최저피사체조도(MINIMUM OBJECT ILLUMINATION)

촬상소자 또는 그것을 이용하는 카메라에서 촬영이 가능한 최저의
피사체 밝기. 이 밝기 이하의 경우에는 S/N비가 나빠져 실용적인
영상화면을 얻을 없다.
최저한도의 S/N비에 대한 명확한 규정은 없다.


* 칼라버스트(COLOR BURST)

칼라 TV 신호의 수평귀선 기간의 BACK PORCH중 특정 위치에
8∼9사이클 분이 부가되어 있는 칼라 부반송파 성분.
복합칼라 신호에서 색신호를 복조할 때 색상과 채도의
기준으로서 이용된다.


* 크로스칼라(CROSS-COLOR)

칼라 TV 시스템에서 휘도신호에 혼입된 칼라신호 성분에 의해 화상의 재생에 문제를 일으키는 현상. 크로스칼라 잡음이라고도 한다.


* 크로스토크(CROSSTALK)

전화 등의 통신회선에서 타 회선의 전력의 일부가 스며들어 본래의
통신 내용과는 다른 내용이 혼입 하는 현상.


* 폐쇄회로TV(CLOSED CIRCUIT TELEVISION, CCTV)

특정 수신자에게만 서비스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TV 시스템.
송신측에서 수신측까지 유선 또는 특수한 무선 전송로로 연결하여
다른 사람이 쉽게 연결 할 수 없도록 한 것. 산업용, 교육용,
의료용, 지역 정보 서비스등에 이용되고 있다.


* 프레임(FRAME)

TV나 영화에서 한 장의 그림을 말한다. NTSC방식에서는 525본의 주사선으로 1프레임이 구성되고, 1초당 30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다.


* 플렌지백(FLANGE BACK)

렌즈가 카메라와 결합되는 기준면, 즉 FLANGE로부터 초점면까지의
거리. 플렌지 초점거리(FLANGE FOCAL DISTANCE)라고도 한다.
C-마운트 렌즈인 경우 플렌지백 거리가 17.526mm이고,
CS-마운트인 경우는 12.5mm이다.


* 플리커(FLICKER)

명암이 시간에 따라 교대로 바뀌는 경우, 이것을 볼 때 느껴지는
점멸현상. 이 바뀌는 빈도가 비교적 적을 때 느끼기 쉽다.
NTSC방식의 TV를 PAL지역에세 보거나, PAL방식의 TV를 NTSC지역에서 볼 때 나타난다.


* 필드(FIELD)

TV 주사에서 1회의 수직 주사로써 구성되는 화면. NTSC방식에서는 주사선 525본이 기수 필드와 우수 필드로 구성된다. 따라서 필드
주파수는 프레임 주파수의 2배이다.


* 해상도(RESOLUTION)

화상시스템에서 피사체의 세밀한 부분이 어느 정도까지 재현 가능한가를 나타내는 용어. 아날로그적인 시스템, 예를 들면 사진이나 TV의
횡방향 해상도를 구체적으로 나타내기 위해서는 한계해상도, OTF(OPTICAL TRANSFER FUNCTION)등 줄모양을 눈으로 측정하는 수치를
사용한다. 디지털의 경우는 화소수로 표현(TV의 종방향 해상도는
화면중의 주사선수, 액정DISPLAY등은 화소수)한다.


* 화각(ANGLE OF VIEW)

일정한 화면내에 촬영 가능한 피사체의 범위를 광학계의 각도로
표시한 것. 일반적으로는 화면의 최대 직경으로 표시한다.
TV화면처럼 화면이 장방형인 경우에는 대각선에 대한 촬영 가능한
범위를 말한다.
이 경우, 촬영 가능한 수평방향의 범위를 수평화각, 수직방향의
범위를 수직화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 화소(PIXEL)

화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화면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의 점을
가리킨다. 예를들면 CCD 고체촬상소자의 감광 화소가 수평 768개이고 수직 494개라면, 총38만 화소라고 표현한다.


* 휘도(LUMINANCE)

면광원에 관한 측광량의 하나.


* 휘도신호(LUMINANCE SIGNAL)

TV 화상의 휘도를 표시하는 전기신호


* AWB(AUTO WHITE BALANCE)

광원의 색온도 변화에 따라 칼라카메라의 백 밸런스를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회로 기능.
카메라 신호로부터 만들어진 R/B신호를 적분한 전압을 색온도
정보로써 이용하여, 광원의 색온도 궤적 위를 움직이도록 R/B이득을 FEEDBACK 제어하는 내부 측광 방식과 광원의 색온도를 외부 광센서로 검출하고 R,G,B이득을 FORWARD 제어하는 외부 측광 방식이 있다.


* "C"마운트/“CS"마운트(”C"MOUNT/"CS"MOUNT)

CCTV 카메라와 렌즈와의 대표적인 결합구조.
CCTV용 렌즈에는 2가지 종류의 렌즈 마운트가 있으며, C마운트
렌즈는 플렌지백 거리가 17.526mm, CS 마운트는 12.5mm이다.
요즈음 많은 카메라가 2종류의 렌즈 마운트를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카메라와 렌즈를 적절히 세팅하기 위하여 이점이 매우 중요하다.
C마운트 렌즈는 5mm 어댑터를 사용하여 CS 마운트 카메라에 사용 가능하지만, CS마운트 렌즈는 C마운트 카메라에 사용할 수 없다.


* DC형 자동조리개 렌즈(DC TYPE AUTO IRIS LENS)

자동조리개 렌즈의 일종으로써 렌즈 자체에는 제어회로가 없으나,
외부(카메라등)에 일정한 광량을 유지하는 기능의 회로를 구성하여, 렌즈의 조리개를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한 렌즈.


*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디지털 신호처리를 HARDWARE로써 실현하는 회로 아키텍쳐.


* ELC(ELECTRONIC LEVEL CONTROL)

전자 SHUTTER기능을 이용하여 광량을 일정하게 조정하는 방식이다.
전자 SHUTTER는 CCD에 축척되는 전하량을 조정하는 것으로 마치
기계식 조리개와 같이 광량을 조정할 수 있다. 즉, 고속 SHUTTER로
동작할 때는 조리개(IRIS)가 닫혀지는 것과 같고 저속 SHUTTER로
동작할 때는 조리개가 열려지는 것과 같은 효과를 주게 된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빛의 양에 따라 SHUTTER속도를 가변함으로써 레벨 제어를 하는 것이다.


* F값(F-NUMBER)

렌즈의 밝기를 나타내는 수치. 광학계의 초점거리를 f, 구경을 D로
했을 때 F=f/D로 표시된다.
결상의 밝기는 F값의 제곱에 반비레하여 F값이 작아질수록 광학계는 밝아진다.
일반적으로 렌즈에 표시되어 있는 조리개 눈금에 F값이 이용되고
있으며,1.4, 2, 2.8, 4, 5.6, 8, 11, 16...의 숫자로 표시되며
1단마다 밝기가 1/2로 되는 √2의 급수로 표시된다.


 


관련

   

'IT Eng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CCTV-DVR의 압축방식  (0) 2017.06.08
DVR 동영상 압축방식의 이해   (0) 2017.06.08
CCTV SYSTEM  (0) 2017.06.08
웹카메라 시방서   (0) 2017.06.08
비상방송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2)  (0) 2017.06.08